본문
12대 선덕여왕 본기[善德女王 ~647] |
선덕여왕(善德女王, ?~647년, 재위: 632년~647년) 또는 선덕왕(善德王)은 신라의 제27대 왕이며, 한민족 최초의 여왕이다.
성은 김(金), 휘는 덕만(德曼)이다.
진평왕과 마야부인(摩耶夫人)의 장녀이며 태종무열왕의 큰이모이다.
생애
《삼국사기》와《삼국유사》는 그녀를 진평왕의 장녀로 기록하고, 필사본 《화랑세기》에서는 차녀로 기록하고 있다.
진평왕이 아들이 없이 죽자 화백회의에서 그녀를 신라의 새 왕으로 추대하여 성조황고(聖祖皇姑)라는 호를 올렸다. 그녀가 즉위하기 1년 전인 631년, 칠숙과 석품이 반란을 일으켜 위기에 몰렸으나 이 난은 곧 진압되었다. 이때 상황은 “흰 개가 궁궐 담장에 올라갔다”고 표현되어 있다.
즉위 초
즉위년인 632년에 하여금 국정을 총괄케 하고, 각지에 관리를 파견하여 홀아비, 홀어미, 고아, 독거노인 등 어려운 처지의 사람들을 돕게 하였다.633년 정월에는 스스로 신궁에 제사를 올렸으며, 여러 주, 군의 조세를 1년간 감해 주었다. 이듬해에는 연호를 인평(仁平)으로 고치고, 분황사를 완성하였다.
635년 겨울에는 이찬 수품(水品)과 용수(龍樹)를 보내어 각지의 민심을 위로하였다. 당나라와의 관계도 강화하였다. 즉위년 12월에 사신을 보낸 이래, 여러 차례 사신이 오갔으며, 재위 3년인 635년에는 당나라로부터 주국 낙랑군공 신라왕(柱國樂浪郡公新羅王)에 봉해졌다. 그러나 재위 초부터 심상치 않은 일들이 벌어지기 시작하였다.
633년 신궁에 제사를 드린 바로 다음 달 서라벌에 지진이 나고, 그 해 8월에는 백제가 서쪽 변경을 침략하였다. 분황사를 완성한 634년 3월에는 알밤만한 우박이 내렸다.
636년 정월에는 수품을 상대등으로 삼았다. 그 해 3월에는 여왕이 병이 들었는데, 이를 낫게 하기 위해 황룡사에서 큰 법회를 열었다. 같은 해, 자장법사가 불법을 배우기 위해 당나라로 들어갔다.
백제, 고구려와의 전쟁
재위 5년인 636년부터는 백제와의 전쟁이 본격화되었다.그 해 5월에 백제 장군 우소가 여근곡에 쳐들어오자 알천, 필탄을 보내 이를 무찔렀다. 637년에는 이찬 사진(思眞)을 서불한에 봉하고, 알천을 대장군으로 삼았다. 638년에는 이상한 일들이 이어졌다.
3월에는 서북부 변경 칠중성 남쪽의 큰 돌이 저절로 움직였으며, 9월에는 누런 꽃이 비처럼 내렸다. 다음 달 고구려가 칠중성에 쳐들어 오자 알천을 파견하여 이를 격퇴하고 불안한 민심을 달랬다. 639년에는 북부 국경을 방비하기 위해 하슬라를 북소경(北小京)으로 삼고 사찬 진주(眞珠)를 보내 지키게 하였다. 7월에도 이상한 일이 벌어졌는데, 동해가 붉게 되고 물고기와 자라가 죽었다. 640년에는 귀족 자제들을 당나라에 유학을 보냈으며, 642년 정월에는 당나라에 토산품을 바쳐 양국 관계를 돈독하게 하였다. 이 때부터 선덕여왕 재위 내내 당나라와의 조공 관계가 성립되었다.
같은 해 7월 백제 의자왕의 대군이 쳐들어와 서쪽 40여 개 성을 빼앗겼다. 또한 백제가 고구려와 모의하여 당항성을 공격하려 하자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구원을 청하였다. 한편 백제군의 공격은 계속되어 대야성이 함락당하고 이찬 김품석(品釋) 등 많은 장수들이 죽었다. 왕은 패배를 만회하고자 김품석의 장인인 이찬 김춘추를 고구려에 파견하였다. 고구려 보장왕은 신라를 구원하기는 커녕 김춘추를 감금하였다. 이를 안 여왕이 김유신을 파견하여 한강 북부까지 나아가니 보장왕은 김춘추를 풀어주었다. 643년 정월에도 당에 토산품을 바쳤다.
9월에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구원을 청하였다. 이에 당 태종이 “그대들은 여인을 임금으로 삼고 있으니 백제, 고구려의 업신여김을 받고 임금의 도리를 잃고 있다.이에 내 왕족을 보내 신라왕으로 삼으려 한다.”고 대답하자 사신은 빈 손으로 귀국하였다.644년 정월에도 당에 조공을 바쳤다. 이에 당 태종이 고구려에 사신을 보내 공격을 멈추라고 종용하였다. 이에 연개소문은 “신라는 일전에 고구려와 수나라가 전쟁을 벌일 때 그 틈을 타 우리의 영토를 500리나 빼앗았다.”며 거절하였다.
9월에 왕은 김유신을 대장군으로 삼고 백제를 공격하여 일곱 성을 빼앗았다.
645년 정월에도 당에 조공을 바쳤다. 백제와의 전쟁은 계속되었다. 자장법사의 건의로 여왕은 3월에 황룡사탑을 세웠다.
5월 당 태종이 고구려를 침략하자 군사 3만을 파견하여 이를 도왔다. 그러나 그 사이에 백제에게 일곱 성을 빼앗겼다. 11월에는 비담을 상대등으로 삼았다.
비담의 난과 죽음
비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재위 마지막 해인 647년 정월, 상대등 비담이 염종(廉宗)과 함께 “여자 군주는 나라를 잘 다스릴 수 없다.(女主不能善理)”는 기치를 내걸고 반란을 일으켰다.
왕은 월성에 진을 치고 김유신을 파견하여 비담을 상대하게 하였다 그러나 반란 와중인 정월 8일에 여왕은 승하하였다.
시호를 ‘선덕’이라 하였고, 일전에 말한 것처럼 낭산에 장사지냈다.
선덕여왕은 재위 초반 민생의 안정에 주력하여 가난한 이들을 보살피도록 하는 구휼정책을 활발히 추진하였으며, 첨성대를 건립하여 농사에 도움이 되게 하였다. 그녀가 백성들을 얼마나 인자하게 아끼고 사랑했는지는 지귀(志鬼)의 설화에서도 알 수 있다.
당시 선덕여왕을 흠모하는 백성들이 많았는데 지귀는 그 중에서도 특히 흠모하는 사람이었다. 그는 선덕여왕이 영묘사를 행차할 때 그녀를 만나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가 깜빡 잠이 들었는데, 선덕여왕이 이를 보고 그의 가슴 위에 자신의 팔찌를 놓고 떠났다. 지귀가 잠이 깨어 이를 알고는 마음에서 불이 나 영묘사(靈廟寺)를 건립하였다고 한다.
또한 불교 또한 널리 장려하여 분황사, 영묘사 등 절을 많이 건립하고 불경을 연구시켜 불교의 일대 부흥을 가져왔다.
특히 선덕여왕은 웅대한 호국의 의지가 담긴 거대한 황룡사 9층 목탑을 세웠다. 황룡사 9층 목탑은 높이 80m의 거대한 탑으로 이를 모두 9층으로 한 뜻은 이웃의 9적을 물리쳐서 복속시키기 위해 나라 이름을 새겨넣은 것이다. 그러나 김부식의 사론은 이와 사뭇 다르다. 그는 “신라는 여자를 세워 왕위에 있게 하였으니, 진실로 어지러운 세상의 일이다. 나라가 망하지 않은 것이 다행이라 하겠다.”라며 왕의 치세를 혹평하였다.
왕이 미리 안 세 가지
삼국유사 선덕여왕조에는 선덕여왕이 미리 깨달은 일 세가지가 수록되어 있다.
당 태종의 모란꽃
즉위년인 632년, 당 태종은 빨강, 자주, 하양색의 모란 그림과 그 씨앗을 선물로 보냈다. 왕은 이를 보고 "이 꽃은 향기가 없을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씨앗을 심어보니 과연 그랬다. 훗날 신하들이 이 일을 물어보니 왕은 "꽃 그림에 나비가 없었다. 이는 남편이 없는 나를 희롱한 것이다." 일연은 이 고사를 소개한 뒤, 당 태종이 신라에 세 여왕(선덕, 진덕, 진성)이 있을 것으로 짐작한 점도 함께 칭찬하고 있다.삼국사기에서는 이 일이 진평왕 말년에 벌어진 일로 묘사되어 있다.
여근곡의 백제군
왕은 즉위 4년인 635년, 영묘사(靈廟寺)를 세운 적이 있었다. 그런데 어느 겨울날, 영묘사 옥문지(玉門池)에 개구리가 사나흘 동안 운 일이 있었다.이에 왕은 각간 알천(閼川), 필탄(弼呑)에게 병사 2천을 주어 서라벌 서쪽 부산(富山) 아래 여근곡(女根谷)을 습격하게 하였다. 여근곡에는 백제 장수 우소(亏召)가 매복해 있었는데, 알천과 필탄은 이를 쳐서 모두 죽였다.
훗날 신하들이 이 일을 물어보니 왕은 "개구리가 심히 우는 모습은 병사의 모습이요, 옥문이란 여자의 음부를 가리킨다. 여자는 음이고, 그 빛은 백색인데, 이는 서쪽을 뜻한다. 또한 남근이 여근에 들어가면 죽는 법이니 그래서 쉽게 잡을 수 있었다."라고 답하였다.삼국사기에서는 옥문지에서 개구리가 운 때가 즉위 5년인 636년 5월로 기록하고 있다.
왕의 승하와 도리천
어느날 왕이 신하들을 불러 "내가 죽으면 도리천(忉利天)에 장사지내도록 하라. 이는 낭산(狼山) 남쪽에 있다."고 하였다. 이후 왕이 죽은 뒤 신하들은 왕을 낭산 남쪽에 장사지냈다. 이후 문무왕 대에 이르러 선덕여왕의 무덤 아래 사천왕사(四天王寺)를 세웠다. 이는 불경에 '사천왕천(四天王天) 위에 도리천이 있다'는 내용이 실현된 것이었다.
가계
● 부모 : 진평왕(眞平王), 마야부인(摩耶夫人)
● 동생 : 천명공주(天明公主)
● 제부(弟夫) : 김용춘
● 조카 : 김춘추(태종 무열왕)
● 동생: 선화공주(善花公主)
● 숙부: 국반 갈문왕
● 사촌 : 진덕여왕(국반 갈문왕과 월명부인(의 딸)
● 남편(삼국유사의 기록)
음갈문왕(飮葛文王) : '음'은 '반'(飯)의 잘못일 수도 있다.
● 남편(필사본 화랑세기의 기록)
김용춘(金龍春): 진지왕의 장남(화랑세기에서는 차남)으로 여왕의 당숙이 된다. 여왕의 여동생 천명공주와 결혼하여 제부가 되기도 한다.
● 흠반(欽飯): 여왕의 친척이다. 여왕의 숙부인 백반, 국반과 같은 항렬인 것으로 보아 선덕여왕의 숙부뻘로 추정된다.
● 을제(乙祭): 신라의 대신이다.